장마가 시작되었다.
요전에 찍은 사진을 넘기다가..
며칠 전 로터리에서 발견해서 찍은.. 해바라기가 눈에 들어온다.
흐린 날, 햇님이 어디 갔나 했더니..
사진 폴더 안에 숨어있었다.
해바라기는 국화나 구절초와 같은 국화과(科) 식물로,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인 한해살이풀이다. 탐험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후 16세기에 유럽에 소개되면서 태양의 꽃으로 불리게 됐다
덩치에 비해 큰 꽃을 피울 수 있는 것은 사실 해바라기가 한 개의 꽃이 아니라 작은 꽃들이 모여 이룬 커다란 꽃무리이기 때문이다. 바깥쪽의 길쭉한 노란색 꽃잎은 제각각 암술을 따로 가진 작은 꽃이고, 나중에 중앙부의 씨앗이 맺히는 갈색 부분 역시 작은 꽃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름은.. 그 특성대로.. 해를 닮고, 해를 바라보는 성질을 딴 것이며, 수많은 나라에서도 비슷한 유래로 이름이 지어졌다. 하지만, 특이하게 튀르키예어로는 ayçiçeği(달꽃)라 부른다고 한다.
꽃을 활짝 피우기 전인 '성장기'(보통 봄·여름인 3~8월)에만 해를 향하는 꽃이다. 어린 해바라기 줄기는 해가 뜨면 동쪽으로 구부러졌다가 해가 지면 서쪽으로 구부러지는데, 그럴 때 꽃봉오리는 마치 해를 따라 고개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어린 해바라기 줄기가 태양을 향해 굽어지는 이유는 식물에 있는 '옥신'이라는 성장 호르몬 때문인데, 옥신은 빛을 아주 싫어해서 최대한 빛을 덜 받는 쪽으로 많이 분비된다. 그 결과 태양 반대편 줄기의 한쪽 성장만 빨라져서 줄기가 마치 태양을 향해 굽어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러면 햇볕을 받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광합성에 유리하다. 그러나 꽃봉오리에서 꽃이 활짝 피고 나면은 번식을 위해 곤충을 유인하는 게 더 중요하다. 그래서 완전히 성장을 마치고 만개한 해바라기는 더 이상 해를 따라다니지 않는다. 만개한 해바라기는 일반적으로 동쪽을 바라보고 있는데, 아침에 온도를 높여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본래는 해바라기씨를 얻기 위해 재배해 왔다. 씨앗은 간식이나 사료나 약, 혹은 기름을 짜는 데 쓰인다. 수천 개의 꽃들이 모인 꽃인 만큼 꿀도 많아서 벌이 자주 모이고 실제로 해바라기꿀도 있다. 기원전 2,600년경에도 아메리카 원주민이 키워 온 흔적이 있는 작물. 해바라기씨유는 사순절 금식기간에도 허용된 몇 안 되는 기름이라 러시아 요리에서 가장 중요한 식용유이다.
씨앗도 기름을 짜거나 식용으로 기르는 품종의 해바라기 씨앗은 크기가 500원짜리 동전에 가까운 매우 거대한 씨앗을 자랑한다. 미국 MLB 선수들이 경기 중 즐기는 간식으로도 유명하다.
대부분 해바라기는 씨앗을 수확하는 용도로 쓰이지만, 꽃 자체를 구워 먹을수 도 있다. 아직 씨앗이 검게 영글기 전, 표면에 있는 작은 꽃들을 전부 제거한 후 통째로 구워 먹는다. 먹는 부위는 아직 열매로 발달하지 않은 씨방으로, 맛은 옥수수와 비슷하지만 맛이나 풍미 자체가 강한 편은 아니기에 보통 양념을 한다.
비슷한 식물로는 단풍잎 돼지풀과 뚱딴지가 있다. 특히 뚱딴지는 해바라기속에 속하고 꽃마저 '작은 해바라기'라고 할 정도로 닮았다.
해를 향해 고개를 돌리는 특성 때문에, 일편단심으로 한 사람을 사랑하는 사람 역시 '~바라기'라고 말하기도 한다. 실제로 해바라기의 꽃말 역시 '일편단심'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바라기'라는 말이 부정적으로 쓰일 때도 있는데, 능력도 별로이면서 힘 있는 윗사람만 바라보며 아부하는 사람을 가볍게 부를 때도 '~바라기'라는 말을 쓴다.
해바라기차를 만들어 마시기도 하며 이걸 짜서 해바라기씨유를 만들 수도 있는데 러시아에서는 식용유의 재료로 중요하게 쓰인다. 과거 소련의 국화였으나 소련 붕괴 후 러시아의 국화는 캐모마일로 바뀌었으며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국화이기도 하다.
복을 불러오거나 재물을 불러온다는 미신과 속담이 있기 때문에 해바라기가 그려진 그림이나 액자를 집 안에 걸어두기도 한다.
일부 중금속이나 방사성 원소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성질이 있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당시에는 이 성질을 이용하여 실제로 유의미한 흡수 효과를 봤으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서는 별로 효과를 보지 못했다.
커피나무 및 해바라기, 담배, 고추, 감자, 박하의 조상격 정도 되는 스트리크노스 일렉트리(Strychnos electri)라는 식물의 화석이, 도미니카 공화국 광상에서 발견된 호박에서 나왔다. 해당 호박은 에오세 중기 시절인 4500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 [출처: 해바라기-나무위키]
해바라기 하면..
해를 본다, 해바라기 씨앗, 초코볼 정도만 생각했는데..
재미난 정보들이 많았다.
..
특히.. '성장을 마치면, 더 이상 해를 따라가지 않는다'는 이야기는..
'어른이 된다'는 것,
'성숙함'에 대해서.. 알려주는 듯하다.
이웃님들, 방문하는 모든 분들..긴 장마에 피해 없이,
건강하게 지내시길 바랍니다.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의 칼날이여, 기쁨이 되어 주소서. (95) | 2024.06.25 |
---|---|
6.25,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 (60) | 2024.06.25 |
딜레마, 아이러니, 패러독스(역설) (45) | 2024.06.23 |
개와 까치의 합창, 심드렁한 고양이. 20240620 (82) | 2024.06.22 |
백합이 아닌, 원추리 (68) | 2024.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