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기

봄.. 가짜 벚꽃

by 도움이 되는 자기 2024. 3. 21.
728x90

응?

벚꽃인가?

 

닮았는데..

 

아니었다.

 

앵도(앵두)나무다.

한국, 중국이 원산지이다. 과수로 뜰에 심거나 인가 주변의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3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나무껍질이 검은빛을 띤 갈색이고, 어린 가지에 털이 빽빽이 나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7cm의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털이 빽빽이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가 2∼4mm이고 털이 있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같이 피고 흰빛 또는 연한 붉은빛이며 지름이 1.5∼2cm이고 1∼2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원통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타원 모양이고 잔 톱니와 털이 있다. 꽃잎은 5개이고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끝이 둥글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꽃잎보다 짧으며, 씨방에 털이 빽빽이 있다. 열매는 부드러운 과육 속에 단단한 핵으로 싸인 씨가 들어 있는 열매[핵과(核果)]고 둥글며 지름이 1cm이고 6월에 붉은빛으로 익는다.

생약명(生藥銘)은 욱이인(郁李仁)이다. 주로 비뇨기, 소화기 질환을 다스리며, 뱀독에 효험이 있다. 관련 질병은 대변 불통, 변비, 소갈증, 외상소독, 유정증(자신도 모르게 정액이 흘러나오는 증세), 이뇨, 통경(월경이 원활하게 함), 환각증, 황달에 효능이 있다. 불에 탄 가지의 재를 술에 타 마시면 복통과 전신통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약으로 쓸 때는 씨를 깨뜨려 그 속의 하얀 알맹이를 탕이나 가루약으로 하여 사용한다. 술을 담가서도 쓰고, 생과일로 많이 먹는다.

주요 성분은 단백질ㆍ지방ㆍ당질ㆍ섬유소ㆍ회분ㆍ칼슘ㆍ인ㆍ철분ㆍ비타민(AㆍB1ㆍC) 등이다. 사과산ㆍ시트르산(레몬이나 밀감 등의 과실 속에 있는 염기성의 산) 등의 유기산이 들어 있으며, 붉은 빛깔의 색소는 안토시안계로 물에 녹아 나온다.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수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성분이 들어 있어 부종을 치료하는 데 좋고, 폐 기능을 도와주어 가래를 없애고 소화기관을 튼튼하게 하여 혈색을 좋게 한다. 동상에 걸렸을 때 즙을 내어 바르면 효과가 있다.

날로 먹거나 젤리ㆍ잼ㆍ정과(과실ㆍ생강ㆍ연근 또는 인삼ㆍ도라지 따위를 꿀에 조린 음식) 앵두편(앵두를 끓여 걸러서 설탕과 녹두 녹말을 넣고 조려 굳힌 한과)ㆍ화채ㆍ주스 등을 만들어 먹는다. 소주와 설탕을 넣어 술을 담그기도 하는데, 이 술은 피로를 풀어주고 식욕을 돋워 준다.

이 앵두를 언제부터 먹기 시작하였는지 알 수 없으나 6세기 중국의 농업 백과전서 《제민요술(齊民要術)》에 재배 기록이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 우리도 일찍부터 식용하였다고 추측된다. 우리나라의 문헌으로는 고려시대 정몽주의 시가집 《포은집(圃隱集)》에 등장하고 있다.

[참고문헌:《원색한국식물도감(이영노, 교학사)》, 《한국의 자원식물(김태정, 서울대학교출판부)》, 《우리나라의 나무 세계 1(박상진, 김영사)》,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Daum, Naver 지식백과》 - koya-culture.com/news/article.html?no=123796 ]

사진을 보고..

벚꽃과 다른 점을 찾으셨는지?

 

1. 벚꽃과 달리 활짝 폈을때, 꽃잎 사이의 공간이 넓다.

2. 벚꽃이 기다란 자루, 가는 가지에 개별로 달려서 꽃이 피는 것과 달리, 앵도꽃은 나무가지에 붙어서 꽃이 핀다.

 

봄에 .. 꽃이 피면..

이들을 구별하는 재미도 있는 듯 하다.


꽃은 꽃이되..

아무리 닮아도.. 차이가 있어서..

서로 다른 꽃나무 이듯..

이처럼..

분별이分別란 필요하고 중요하다.

그리하여. .그들은 각기..다른 열매를 맺는다.

 

남자와 여자가 ..

인간이되..

각기 다른 것처럼..

그리하여.. 각기 다른 역할을 하는 것처럼..

 

.. 공자님의 정명론이 생각난다..

정명론(正名論)은..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이다.

<顔淵第十二>11 齊景公問政於孔子. 孔子對曰, “君君, 臣臣, 父父, 子子.” 公曰, “善哉! 信如君不君, 臣不臣, 父不父, 子不子, 雖有粟, 吾得而食諸?”

 

'임금(君)은 임금다워야 하고, 신하(臣)는 신하다워야 하며, 아비(父)는 아비다워야 한다'

..

다음 블로그에서 이야기를 이어가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