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17

마음 치유?.. 누군가에겐 잔혹한 거울 같은 책.. <나를 잃지 않고 오늘을 사는 법> 이 책을.. 가벼운 마음으로 읽다가.. 계속 멈칫... 멈칫.. 페이지를 넘기는 손이 .. 멈춘다.. 이거.. 내 얘긴데.. 거울은 거울이되.. 칼날이 박혀있는 듯 하다. 진짜 ..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들여다 보게 되는 책.. 나를 잃지 않고 오늘을 사는 법 : 하루하루 너무 많은 것을 잃고 살아가는 당신을 위한 채움의 심리학 -가토 다이조 제1장 삶의 고단함을 내려놓는 5가지 방법 1. 주위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싶다면 2. 불안하기 때문에 더 매달리게 된다 3.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바뀐다 4. 삶의 무거움을 인정하라 5. 나에게 맞는 좋은 친구를 찾아라 제2장 진정한 자기 자신을 만나라 1. 왜 그들은 특별 취급을 원할까? 2. 스스로에게 솔직해져라 3. 자신의 위치를 알자 4. 자신을 중심으로 세.. 2024. 4. 9.
공간을 채우는 것 - 좁은 방이든, 그릇이든, 인생이든.. 비오는 월요일이다. 직장에선.. 바쁜 와중에.. 누군가의 배려심없는 이야기에.. 혼자 상처입고.. 집에선.. 다들 각자의 방에서.. 각자의 공간에서.. 바쁘다. 다들 너무 커 버린듯.. 문득..책상에 앉았는데.. 이 공간이.. 이 시간이.. 내 인생이.. 허전하게 느껴졌다.. .. 책상 구석에 놔뒹굴고 있는.. .. 향을 보다가.. 피워 봤다. .. 구불구불 피어오르는 흰 연기.. 조금씩 방안을 채우는 박하 맛 향기를 맡으며.. .. 채움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아놀드(Arnold), 브라이언(Brian), 찰스(Charles)라는 세 아들을 둔 현명하고 부유한 농부가 살았습니다. 어느 날 그는 자신이 죽은 후 그의 아들들이 재산을 놓고 다툼을 벌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여 그것을 분할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2024. 3. 25.
꽃이 시간을 이겨내는 방법 내가 좋아하는 구절이 있다. "사람들이 꽃을 사랑하는 이유는, 그 꽃이 너무 빨리 시들기 때문이다." .. 아마도 헤르만 헤세의 말이었던 것 같은데.. 구글링 해도 확인이 안된다. 아무튼.. 집에 키웠던 자주빛의 호접란, '팔레놉시스' 랑.. .지금 거실에서 2달이 넘도록 노란 꽃을 유지하고 있는..'심비디움'.. 이들은.. 헤세의 말이 무색하게.. 참으로 오랬동안 꽃을 피운다. .. 하지만..대게의 꽃들은 도리어 정 반대의 방식으로 ..세월을 이겨낸다. 점심시간 ..비가 부슬거리는 와중에 나가서..걷다가 우연히 본 동백꽃. 동백.. 카멜리아. (아래 나무위키를 보면.. 동백과 관련된 상식들이 참 많다. 조매화이며, 향기 나지 않는 꽃, 등등) 더보기 좁은 의미에서는 한국에서 자생하는 동백나무(Camel.. 2024. 2. 20.
어떻게 의욕을 끌어낼 것인가 /하이디 그랜트 할버슨, 토리 히긴스 [인생책추천책] 어떻게 의욕을 끌어낼 것인가 하이디 그랜트 할버슨, 토리 히긴스 이 책은 ...생각보다 아는 분들이 많을 거 같다. 우리나라에서 대박이 난 책으로.. 중아일보에서 인터뷰도 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19928989#home [인문학 속으로] 미국인 65% 성취지향형 한국인 65% 안정지향형 | 중앙일보 '조절초점 이론' 심리학자 히긴스 컬럼비아대 교수회사의 중요한 프로젝트를 맡아 밤늦게까지 일하는 팀원이 있다. 팀장이 어깨를 두드리며 말한다. “잘하고 있어! 이번 일이 성공하면 인센티 www.joongang.co.kr 이 책은.. 간단해서 좋다. 요즘 MBTI니 뭐니 하면서.. 엉터리 성격분류에 목을 매는데 MBTI는 너무 주관적이고 분류 기준자체가 중복되고 있.. 2024. 2. 1.
좋아 보이지만 아무도 쓰지 않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좋아 보이지만 아무도 쓰지 않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240118 꽤나 좋은 의지다. 가죽도 좋고, 쿠션도 탄탄한 듯. 디자인도 좋다. 팔걸이의 위치도 적절하고 넓다. 새 것과 다름이 없다. .. 자기에게 맞지 않는 것, 이건 비유같지만, 이번 의자의 경우엔 . 불편한 점이 있다.. .. 다른 비유로 보자면, 형편에 맞지 않는 슈퍼카, 명품도 이와 같겠다는 생각을 한다. 억지로 쓰면 되지 않느냐고? 여기, 버림 받은 의자가 그 증거다. 사소해보여도, 그게 편리함, 실용과 거리가 있다면, 자기(의 체형)에게 맞지 않다면.. 결국... 사소함이 그 모든 것이 되는 셈이다. .. 2024.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