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99 권 책 읽기

필독서 <화교 부자수업>

by 도움이 되는 자기 2025. 2. 20.
728x90

전혀 기대하지 않고, 펼쳐들었다가..

읽고 또 읽는 책..

 

 

화교 부자수업

거물 화교 사장에게 배운 부와 성공의 비밀 | 부자가 되는 지름길은 인간을 이해하는 것이다!

 

 

  • 프롤로그 : 화교의 어떤 점이 대단한가?
    ‘계속 생각하고 있다’면 결국 원하는 결과를 끌어낼 수 있다
    비즈니스는 화교에게 배워라
    스스로 해보는 수밖에 없다
    무의미한 일을 하지 않는다
    치명상만은 입지 말라
    생각하지 않는다, 열심히 노력하지 않는다
    돈을 아껴야 할 곳, 돈을 써야 할 곳
    아르바이트 직원과 단 둘이서 연매출 10억 원 달성
    화교의 가르침을 잊고 대실패
    극적인 부활, 그리고 ‘아시아의 용’으로

    1장 실패하지 않는 업무추진 방식
    사업은 절대로 혼자 하지 않는다
    일정을 빼곡히 채우지 않는다
    먼저 손을 든다
    화교의 비즈니스에 실패란 없다
    과거의 실적을 묻지 않는다
    일을 못하는 사람도 환영한다
    부탁하는 영업을 마다하지 않는다
    납기와 일정을 조정하지 않는다
    장사의 기본은 사막에서 물을 파는 것
    이익 계산을 철저하게 한다
    업무 평가의 기준은 오직 이익
    프로세스는 중요하면서도 중요하지 않다
    이익은 눈앞의 돈뿐만이 아니다
    항상 두 가지 판단기준을 세운다
    잠깐! 화교는 왜 해외로 진출하는가?

    2장 인간의 심리를 이용하는 소통의 기술
    큰 소리를 내지 않는다
    감정을 표정에 드러내지 않는다
    몸짓을 의도적으로 활용한다
    눈이 아니라 입을 본다
    화교의 비즈니스는 식사자리에서 시작된다
    절대로 상대를 책망하지 않는다
    상대를 궁지에 몰아넣지 않는다
    화교가 애완동물을 기르는 데는 이유가 있다
    소통하는 상대는 ‘사람’이다
    잠깐! 화교와 중국인은 어떻게 다른가?

    3장 기본은 인간관계! 인맥형성과 사교의 비법
    ‘귀인’을 만난다
    상대가 먼저 이득을 보게 한다
    일단 ‘빚’을 만든다
    싫은 사람일수록 다가간다
    호불호와 교제를 혼동하지 않는다
    물건 하나를 살 때도 인맥을 만든다
    잠깐! 화교 사회에 빈곤층이 없는 이유 1

    4장 일반인과는 크게 다른 돈에 대한 생각
    자기 돈을 쓰지 않는다
    거두어들이는 돈과 주는 돈이 따로 있다
    돈으로 속도와 완성도를 산다
    한턱내는 횟수를 경쟁한다
    다른 사람들과 지갑을 공유한다
    화교가 돈에 집착하는 이유
    부모 자식 간에도 돈을 공짜로 주지 않는다
    자녀교육에 쓰는 돈도 수익을 계산한다
    어느 화교 가정의 가계부
    잠깐! 화교 사회에 빈곤층이 없는 이유 2

    5장 비상식적이면서도 합리적인 시간 사용법
    이메일은 거의 쓰지 않는다
    상대의 사정에 맞추지 않고 일단 돌진한다
    여러 개의 상담을 동시에 진행한다
    빨리 끝내야 하는 일은 밖에서 한다
    화교가 야근하는 이유
    낮잠을 통해 정신을 리셋한다
    가족과의 시간을 가장 소중히 여긴다
    일보다 친구와의 시간을 우선순위에 둔다

 

 

일본인 저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화교(화교은 중국인 출신으로 다른 국가에 사는 중국인들을 말하는 단어이며, 한국어권에서는 화교라고 통칭한다. 해외에서 갖은 탄압을 받아오고 있기 때문에 "아시아의 유대인"이라는 별칭이 있다.-위키백과)..

일본인과 화교의 비교를 통해서..

더 분명히 이해하게 된다.

특히.. 일본인들의 모습은.. 우리와 전혀 다를바가 없음을 알게 되고..

그리하여 더 공감할 수 있다.


이 책은..'부자','성공'에 대한 책이긴 하지만..

'관계'에 대한 책이라 말하고 싶다.

 

요즘.. 인간관계에 대해서.. 이런저런 부정적인 책들이나 강의들이 많은데..

..

동양인(유교권)이라면..

이 책이 정말 온전한 대안, 또는 정답이 아닐까?하고 생각해 본다.

'관계'에 대해 고민이 있는 분이라면..

필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