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토리2

스토리를 만드는 방법은, 거꾸로 스토리를 이해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글쓰기를 위한 책을 읽다가..스토리를 만드는 방법은, 거꾸로 스토리를 이해하는 방법이기도 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영화나 만화, 소설을 읽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데..이렇게.. 글의 구조나 이런저런 설정들을 꿰뚫어 보는 능력은..이야기의 몰입을 방해할 수도 있겠지만.어떻게 보면.. 또 다른 재미를 주기도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런 안목을 갖고.. 작품을 읽으면.. 저절로 작가로서의 역량도 성장하지 않을까?좀 더 일찍 알았더라면.. 더 좋았겠다고 생각하게 된다.아이들이랑 대부분의 애니메이션과 영화를 다 섭렵했는데..그걸 보기 전에 이런 정보를 알고 있었더라면.. 다시 그 영화들을 본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들 것인가?어릴 때부터.. 정규수업에 이런 내용이 들어가면 좋지 않을까? 플.. 2024. 11. 29.
간신히.. 한 송이.. 정원의 아주 아주 구석진 모서리에 좀 작은 화분에서 자라는 장미가 있다.제대로 챙겨주지 못한 장미는..너무 쨍쨍한 날에.. 죽어가는 듯하다가..간신히 살아나서..(어제 보니..) 꽃을 하나 피워냈다. 수돗가에 풍성하게 피어난 장미넝쿨과 너무 대비된다.    홀로 피었지만..나름의.. 여러 우여곡절과 생사의 경계를 넘어서 인지...그런 스토리를 갖고 있기에..(물론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이가 있어야겠지만..)더 아름다운 듯하다.  개수나 양이란.. 성과물도 중요하지만..결과가 비록 보잘것없어 보여도..그 과정.. 그 뒤의 이야기는.. 성과에 의미를 더해준다. 무게를 실어준다.스토리는 감동을 주는 법이다. 거꾸로..(일상에서) 소소한 감동을 얻으려면..좀 더 마음과 눈을 열고.. 주변에 호기심을 갖고, 관찰.. 2024.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