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99 권 책 읽기

팔만대장경과 한 줄

by 도움이 되는 자기 2024. 12. 13.
728x90

 

데이빗 봄의 <대화에 대해서>를 읽고..

많은 생각이 든다.


정지(Stop)를.. 유보(pause=>구글번역은 '정지'라고 하고, 책에서는 유보라고 했는데.. 적절한 번역인 듯하다)라고 했고.. 말과 행동, 생각의 .. 일단 유보하고....

그리고. .관찰하라고 한 것은 부처의 사념처의 가르침과 같다.

 

그 기저에 깔려있는 생리적인 과정.. 예를 들어.. 뇌에서 신경말단까지의 2-3초의 딜레이.. 때문에.. 우리가.. 인과를 분리해서 생각하는.. 인식하는.. 착각을 범한다는 것..

일단 감정의 안개가 피어나면.. 최소 90초는 지나야 한다는 것..

자동적인.. 오토매틱.. 사고과정..등도..우리가.. 착각하게 되는 이유에 포함될 것이다. 

(대신에. .이런 딜레이나, 병렬구조가 있기 때문에.. self가 ego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

암묵적인 영역.. 즉.. 우리가.. 상식, 예의상, 인간 된 도리라고 말하는.. 그런.. 말로 표현할 순 없지만.. 암묵적으로 생각하고 따르는 것들의 중요성..

 

그리고.. 대화의 중요성..

일단 유보하고.. 관찰하는 행위를.. 집단에서 행하는..  대화의 장..

..

이 또한 .. 4념처의 가르침을 사회적으로 확장하려는 시도다..

..

그리고..마지막 클로징 멘트에서도 몇 번이나 강조되었듯..

파멸적인 '비일관성'을 초래하는..파편화된 모든 것들은..

우리 주변에 도처에 있음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처님의 가르침은.. 팔만개로 파편화 되었다.

 

 

한 번 읽는 데 30년이면..

그걸 다 이해하고.. 정리해서.. 실천하는 것은 가능한가?

..

 

팔만대장경의 가르침을 한 줄로 요약할 순 없을까?

구글 제민에게 물어봤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한 줄로 요약하면
 
부처님의 가르침을 한 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모든 고통의 근원을 깨달아 벗어나고, 모든 존재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
다른 표현으로는:
  • 모든 악을 짓지 말고, 모든 선을 행하며, 자신의 마음을 깨끗하게 하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입니다. (칠불통계게)
  • 지혜와 자비를 통해 스스로 깨달음을 얻고, 다른 이들에게도 베푸는 삶을 살아가는 것.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 고통의 원인: 욕심, 성냄, 어리석음과 같은 번뇌
  • 깨달음: 고통의 원인을 깨닫고 그것에서 벗어나는 것
  • 평화로운 공존: 모든 존재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를 존중하며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것
부처님의 가르침은 단순히 종교적인 교리에 국한되지 않고, 우리 삶의 모든 부분에 적용될 수 있는 지혜로운 가르침입니다.

 

부처님이 원하신 것은.. 팔만권의 경서가 아니라..

고통에서 벗어남과 평화가 아닌가?


 

내가 배우기론..

팔만대장경은.. 부처의 은덕으로.. 외침을 막고 국가의 안위를 갖고자 하는.. 권력층의.. 주술적인 기원에서 탄생한 걸로 안다.

그러한.. 편협하고, 기괴한 생각들이.. 가르침과 진실을 파편화하고.. 비일관성을 초래하게 된다.


 

자신과 대화를 하자.

그리고.. 주변 사람들과 모여서.. 대화를 하자.

..

일단의 울컥하는 감정, 기분, 생각, 견해는.. 모두 유보하고..

그냥.. 듣자.  그리고 그 사람의 말, 행동, 태도, 자기 내면의 반응, 생각, 감정, 태도, 등을 가만히 관찰해 보자.

..

데이빗봄이 말한..

 인류의 파멸적인 미래와 종말을..

다양한 세계의 전쟁과... 국내의 극단적인 당쟁을 보면서.. 실감한다.

데이빗 봄이 말하는..

'대화'가 절실히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