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토익 문법] 가정법 vs 직설법 완벽 비교 정리!
[토익 문법] 가정법 vs 직설법 완벽 비교 정리! 시제별 차이 & 예제로 쉽게 이해하기 🚀1️⃣ 가정법과 직설법의 정의 및 개념 비교직설법 : 현실에 기반한 사실, 실제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있는
max-english.tistory.com
'가정법'이란 문법을 복습했다.

가정법, 하면..
가정하는 내용의 시제를..더 과거로 해야 함이
..시험에 나오는 족보다..
..
.
대다수 생명에게 과거란.. 대게는 기억이며, 학습이다.
동물들은.. 과거의 기억을 통해서.. 두려워하고 피할 것을 구별하고, 좋은 사냥터를 기억한다.
인간도 마찬가지지만..
예외적으로 과거를 '가정'할 수 있는 능력도 있다.
..
그래서.. '그때 그랬더라면'.. '나도 ~했다면..' 란 식의 가정을 곧잘 한다..
그리고 이런 가정은 대게 '후회'나 '질투', '자기합리화'의 방편이 된다. 최근에 유행했던 '금수저', '흙수저'란 단어들은.. 이런 '가정법'이 비관적으로 사용된 대표적인 예다.
즉.. 인간에게 '가정법'이 있기에.. 불행해진다.
하지만..
가정법이 있기에.. 인간은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다.
미래에 대한 가정을.. 꿈, 목표, 미션이라고 한다.
우리는 이런 미래에 대한 가정을 할 수 있기에..
여느 동물과 다른 문명을 이뤄내고..
만물의 영장이 되었다.
..
'가정법'의 활용은..
가급적 미래시제로 쓰도록 하자..
그러면.. 문법적으로.. '오늘'의 시제에..
'뭘 해야 할지'가 중요한 족보가 된다.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끔, 삶에 필요한 것 (6) | 2025.04.04 |
---|---|
큰 꽃 중간 꽃 작은 꽃 아주 작은 꽃 (5) | 2025.04.04 |
벚꽃구경, 인생구경 (12) | 2025.04.03 |
지나침은 근본을 해친다. (12) | 2025.03.30 |
불확실, 무확신의 고통에 대해서.. (11) | 2025.03.28 |